정보_정책 지원 / / 2025. 1. 3. 23:15

기초노령연금 신청 방법과 수급 조건 총정리

만 65세 이상에게 지급되는 기초노령연금. 수급 자격, 신청 방법, 재산 기준까지

기초노령연금
기초노령연금

 

목차 

1️⃣기초노령연금

2️⃣수급 자격과 재산 기준

3️⃣신청 방법과 절차

4️⃣주요 FAQ

서민들에게 노후를 준비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적인 경제적 지원입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에게 매달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기초노령연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이 제도는 노후 빈곤 문제를 해소하고자 설계된 복지 프로그램으로, 노후 자산과 경제적인 수입을 확보하지 못한 분들에게는 매우 필요한 생계수단이기도 합니다. 

1. 기초노령연금

 

기초노령연금은 국가가 만 65세 이상에서 소득 하위 70% 어르신들에게 매달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복지 제도로 운영됩니다. 우리가 내는 세금으로 운영되며, 국세와 지방세로 납부하는 일반조세를 통해 재원을 마련하고 있어요. 

  • 목적: 노후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최소한의 생활비를 보장.
  • 대상: 국민연금을 받지 않거나 소득이 적은 어르신.

✅국민연금과의 차이점

기초노령연금은 국민연금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지원되며, 국민연금보다 더 광범위한 소득계층을 대상으로 합니다. 두 연금은 중복 수급이 가능하지만 기초연금 금액이 감액될 수 있어요. 다만, 소득 및 재산, 국민연금 수급액 수준에 따라서 기초연금을 전혀 수급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수급 자격 자체는 상호 배제하지 않으므로 수급 자격이 된다면 이에 대해 확실하게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수급 자격과 재산 기준

기초노령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주요 수급 조건

  • 나이: 만 65세 이상.
  • 소득인정액: 소득 및 재산을 합산한 금액이 소득 하위 70%에 해당.
  • 거주 요건: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국내에 거주.

 

2) 재산 기준 및 연계 감액

  • 재산: 재산은 소득으로 환산되어 소득인정액 산출에 포함됩니다.
  • 연계 감액: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경우 일정 금액이 기초노령연금에서 차감될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단독가구 기준 월 202만 원, 부부 기준 월 323만 원을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본인(배우자 포함) 소득 및 재산을 환산한 금액이 정부가 매년 정하는 '선정 기준액' 이하를 만족해야 기초노령연금 수급이 가능해요.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 연금 등 다른 연금을 받고 있어도 소득 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라면 기초연금 중복 수급이 가능합니다. 

 

3. 신청 방법과 절차

기초 노령연금 수급
기초 노령연금 수급

 

만 65세가 되는 달의 1개월 전부터 사전 신청이 가능합니다. 1960년 5월 생이라면 2025년 4월에 신청할 수 있죠. 신청 시점과 관계없이 만 65세가 되는 달에 지급 개시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지급 결정 전에 신청해야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 부터 연급을 받을 수 있으므로 숙지 하시기 바랍니다.  

1)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 복지로에 접속하여 모의 계산 후 신청.
  • 필요 서류: 공인인증서, 주민등록증 사본.

 

2) 오프라인 신청

  • 신청 장소: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
  • 필요 서류: 주민등록증, 소득 및 재산 확인서, 기타 관련 서류

 

4. 주요 FAQ

Q1. 기초노령연금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A1. 2025년 기준, 월 최대 30만 원까지 수령 가능합니다.

Q2. 신청 후 얼마 만에 연금을 받을 수 있나요?

A2. 신청 후 약 2개월 이내에 심사를 거쳐 지급됩니다.

Q3. 기초노령연금과 국민연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3. 가능합니다. 다만, 국민연금 수령액에 따라 기초노령연금이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

 

기초노령연금은 노후를 안정적으로 준비하는 데 중요한 복지 제도입니다. 수급 조건과 신청 방법을 꼼꼼히 확인하여 빠르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