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오름에 따라 밥값도 오르고, 그에 따라 결혼식 축의금에 대한 금액도 부담으로 떠오릅니다. 상황과 관계에 따른 결혼식 축의금 적정 금액은 얼마일까요?
목차
2024년 기준의 통계를 보면 서울 기준 예식장 1인당 식대는 6~9만 원 수준이라고 하는데요. 과거 1인당 5만 원 정도라는 결혼식 축의금은 자칫하면 적자 결혼식이라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겨 버렸습니다. 제가 결혼할 때만 해도 식대는 2만 5천 원에서 3만 원 선이었는데 이제 결혼식을 하는 신랑과 신부도 그리고 축하해 주러 가는 하객도 식비 인상에 따른 축의금 부담을 떠안아 버린 셈이죠.
1. 결혼식 축의금의 의미
1) 축의금의 의미
축의금(祝儀金)이란 결혼을 축하하는 의미로 신랑·신부에게 전달하는 금전적인 선물입니다. 이는 단순한 금전적 지원이 아니라, 사회적 관습과 예절의 일환으로 자리 잡아 낸돈을 돌려받는다는 인식도 있는데, 한국에서는 결혼식에 참석하면서 축의금을 내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친분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합니다. 다만 가족이나 친지가 전달해 주는 높은 금액의 축의금이 아닌 이상 일반 지인들의 축의금으로 낸 액수는 대부분은 예식장에서 제공하는 밥값으로 다 빠져나가는 현실이기도 해요.
2) 축의금 봉투 작성법
축의금 봉투는 단순한 봉투가 아니라 예의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축의금 봉투와 방명록에 쓰인 이름으로 참석 여부 그리고 축의금 내역을 확인해 기록해두는데요. 저는 결혼한 지 10년이 훌쩍 넘었지만 이름이 쓰인 봉투를 아직도 갖고 있고, 지인의 결혼식 초대 시에는 이 봉투와 액수를 확인해 제가 지출한 축의금을 산정하곤 합니다.
✅ 봉투 겉면 작성법
- 앞면: '축의금' 또는 '축결혼' (전통적인 표현)
- 뒷면: 본인의 이름과 혼주와의 관계 (친구, 김OO)
3) 축의금 전달
결혼식 당일 축의금 접수처에서 직접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렇게 하면 축의금은 사실상 신랑·신부에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부모님께 전달되는 것인데요. 일부 기업에서는 전산 시스템을 통해 신청 시 급여에서 공제를 통한 방식으로 신랑·신부의 계좌에 직접 전달해 주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도 이런 방식이라서 봉투를 전달하기보다는 급여에서 공제하는 방식을 더 선호하고 있어요.
2. 2025년 축의금 적정 금액
1) 친구 및 직장 동료
관계 | 추천 금액 | 비고 |
친한 친구 | 10~15만 원 | 가까울 수록 높게 |
직장 동료 | 5~10만 원 | 참석 여부에 따라 |
학교 동창 | 5~15만 원 | 친밀도에 따라 조정 |
사람이 살다 보면 삶에 지치고, 생활환경이 달라져 과거에 친분이 있었던 친구와 연락을 잘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잊혔던 친구가 연락이 온다면 축의금 또는 부의금을 먼저 떠올리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우리나라 사회에서는 결혼식에 축의금을 전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앞으로 보지 않고 살 생각이 아니라면 결혼식에 참석 못하는 상황이더라도 축의금은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혼식에 참석한다면 높은 밥값 때문에 축의금을 많이 내야 하지만 많은 축의금을 줬다는 기록이 남게 되고, 결혼식 참석 없이 난 밥 안 먹었으니 적당히 낸다고 하면 축의금을 적게 냈다는 기록이 남게 되는데 사실상 결혼식 참석 안 하고, 축의금을 적당히 낸 사람이 신랑 · 신부에게 더 많은 축의금을 남겨줍니다. 이게 참 아이러니 한 부분이기도 해요.
2) 가족 및 친척
관계 | 추천 금액 | 비고 |
사촌 | 10~20만 원 | 가까울 수록 높게 |
형제 | 30~100만 원 | 선물로 대신할 수 있음 |
조카 | 10~50만 원 | 가족 행사 지원 의미 |
가족 및 친척의 결혼식에는 친밀도에 따라서 금액이 달라지지만 부모님의 의견을 들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먼 친척임에도 불구하고 부모님과의 사이로 인해 의무적으로 참석하지만 그렇게 친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인데요. 형제자매 사이에는 축의금보다는 고가의 혼수품으로 선물하는 경우도 많아요. 저희 집 TV도 결혼할 때 가족에게 선물로 받은 거거든요.
보통 형제들끼리는 가족 행사를 지원한다는 의미를 담아서 꽤나 많은 금액을 축의금으로 내지만 사실 이건 낸 만큼 돌려받는다는 어른들의 축의금 돌리기 식의 발상이 더 짙은 것 같아요. 다만, 결혼식이라는 것 자체가 목돈이 들기 때문에 축의금은 결혼식 준비부터 예식 그리고 신혼여행까지의 금전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좋은 취지가 될 수도 있습니다.
3) 상사 및 비즈니스 관계
관계 | 추천 금액 | 비고 |
직속 상사 | 10~20만 원 | 직급과 관계 깊이에 따라 |
거래처 대표 | 20~50만 원 | 비지니스 관계 고려 |
거래처 직원 | 5~10만 원 | 친분의 표시 정도 |
직장은 다니다 보면 자연스레 친구보다는 직장 동료들에게 더 신경 쓰게 되고, 생각보다 매월 지출되는 결혼식 축의금이 많습니다. 아무래도 사람이 모인 조직이기에 다양한 행사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사 또는 동료의 자녀 결혼식까지 챙기다 보면 생각보다 잦은 횟수의 축의금을 내고 있어요. 이 때는 내가 받은 이력과 상대방과의 친밀도 그리고 비즈니스 관계를 잘 따져보아야 합니다. 거래처의 대표나 직원이라면 회사의 지원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호텔 vs 일반 결혼식
1) 호텔 결혼식의 특징
저는 아무리 친해도 호텔 결혼식은 안 갑니다. 이유는 비싸기 때문인데요. 사실 호텔 결혼식 가서도 축의금을 적당히 낼 수 있지만 이는 괜히 눈치 보게 되는 일이고, 혼주와 신랑 · 신부과 자신들 좋으라고 잡은 호텔 결혼식에 일반 하객에게는 부담이 될 수도 있어요. 일반 예식장에 비해 식대(식사 비용)가 과하게 비싼 곳이므로 축의금 적당히 내고 결혼식은 참석하지 않음으로써 '밥값' 지출 없이 고스란이 축의금이 전달되었다라는 생각으로 걍 안갑니다. 왠지 제 양심상 결혼식 참석하면 더 많은 축의금을 내줘야 예의일 것 같은 호텔 결혼식이에요.
2) 식대와 축의금의 관계
- 호텔 웨딩: 1인당 식대 10~15만 원 → 최소 축의금 15만 원 이상 추천
- 일반 웨딩홀: 1인당 식대 5~7만 원 → 최소 축의금 5~10만 원 추천
부부 또는 연인이 함께 참석할 경우, 축의금은 개인 기준의 1.5배~2배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이유는 축의금 내는 사람은 한 명인데 밥값이 두 배로 들기 때문이 이를 감안한 축의금 산정이라고 해요.
4. 주요 Q&A
✅부부가 함께 참석하면 축의금은 두 배로 내야 하나요?
꼭 그렇지는 않지만, 1.5배~2배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전 그래서 가족 결혼식이 아니면 혼자 다녀요.
예: 개인 기준 10만 원 → 부부 참석 시 15~20만 원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할 경우 축의금은 어떻게 하나요?
가능하면 사전에 계좌 이체 또는 직접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까운 사이면 결혼 후 선물로 대신하는 것도 좋아요.
✅축의금을 현금이 아닌 선물로 대신해도 괜찮을까요?
가능하지만, 사전 조율이 필요합니다. 신혼부부가 원하는 물품(가전제품, 상품권 등)을 고려해주어야 하기 때문이죠.
'지식_정보 수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꼭 가입해야 할까? 장단점 분석 (0) | 2025.02.16 |
---|---|
장관 의전 서열과 대통령 권한 대행 순서 (0) | 2025.02.14 |
대한민국 의전서열 1위 부터 10위까지. 국가서열과의 차이점 (0) | 2025.02.11 |
공무원연금 vs 국민연금 차이점. 수령액과 혜택 비교 (0) | 2025.02.03 |
강남 잠삼대청(송파구 잠실·강남구 삼성·대치·청담) 이제 투자할 때? 토허제 해제 후 유망 단지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