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디자이너 몽
  • 교육정보
  • 정보수집
  • 주식배팅
  • 상품 정보
  • 정책지원
  • 홈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지식_정보 수집
      • 투자_금융 정보
      • 정보_정책 지원
      • 교육_진로 자격
      • 쇼핑_상품 정보
  • 홈
  • 정보수집
  • 주식배팅
  • 진로자격
  • 정책지원
  • 상품정보
반응형
지식_정보 수집

전입신고 인터넷 신청 방법. 임대차보호법 확정일자 부여받기

대한민국은 거주지를 옮기게 되면 이를 신고해야 하고, 신고 대상은 새로운 거주지의 시장 및 군수 또는 구청장입니다.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전입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전입신고 목적 1) 세입자 보호 2) 확정일자 3) 미신고 불이익 2. 준비물 3. 인터넷 신고 4. 처리 기간 1) 평일 근무시간 2) 야간 또는 주말 거주지를 옮기게 되면 주소가 변경됩니다. 주소가 바뀌었다면 14일 이내에 해당 거주지로 옮겼음을 신고해야 하고 이를 전입신고라고 합니다. 이는 주민등록법 제16조(거주지의 이동)에서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요. '하나의 세대에 속하는 자의 전원 또는 그 일부가 거주지를 이동하면서 제11조나 제12조에 따른 신고의 무자가 신거주지에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

2024. 1. 31. 13:11
지식_정보 수집

전월세신고제 신고방법과 과태료. 계도기간은 24년 5월까지

임대차 3법은 첫 번째. 계약갱신청구권, 두 번째 전월세상한제, 세 번째 전월세신고제입니다. 이 중에서 세 번째인 전월세신고제는 아직까지 시행되지 않고 있지만 계도 기간을 거쳐 의무신고제를 도입할 예정인데요. 전월세 신고제는 계도기간이 1년 연장되어 2024년 6월 1일부터 시행될 계획입니다. 전월세신고제는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부정한 계약 관계를 방지하고, 임대인과 임차인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올바른 계약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전세 또는 월세 계약 시 해당 계약 내용을 관할 지역 시청 등에 신고하도록 하는 제도로 미신고 및 거짓 신고 시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하여 임대차 계약에 대한 합법적인 관리를 하기 위함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1. 임대차 3법 전월세신고제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임대차 3..

2023. 5. 29. 22:33
  • «
  • 1
  • »
반응형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지식_정보 수집
    • 투자_금융 정보
    • 정보_정책 지원
    • 교육_진로 자격
    • 쇼핑_상품 정보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라이프 디자이너 몽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