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_진로 자격 / / 2023. 9. 2. 23:22

경찰 계급 체계 및 직급에 따른 공무원 급수

대한민국 경찰 조직의 계급 체계와 공무원 직급 대우 

목차 

1. 경찰 계급 체계

2. 계급별 급수

3. 어디서 부터 간부급?

 

경찰 계급과 공무원 급수

 

어릴 적 경찰이 되고자 하는 꿈을 꿔본 사람들이 많습니다. 제복은 입은 경찰도 멋있고, 국민의 치안을 담당하는 직업이라는 점을 동경했기 때문인데요. 특히 사복을 입고 근무하는 형사님들을 보면 나도 저렇게 멋진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을 가져보기도 했죠. 성인이 된 이후에는 경찰공무원이라는 정년 보장과 연금이 지급되는 직업을 갖고 싶었지만 저는 공무원보다는 빠르게 자산을 쌓을 수 있는 창업이나 민간기업으로의 취업이 더 필요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대학에서도 경찰학과가 존재하고, 여전히 노량진과 같은 곳에서는 경찰공무원이 되기 위해 공부하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경찰은 계급 체계가 존재하고, 공무원 신분이기 때문에 계급에 따른 직급도 존재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한민국 경찰 조직의 계급 체계와 계급에 따른 직급 대우를 알아보도록 합시다. 

 

1. 경찰 계급 체계 

경찰 공무원 계급 체계
경찰 공무원 계급 체계

 

경찰은 군인과 같이 계급이 나누어지는 조직입니다. 하지만 군인과는 조금 다르죠. 국방부에는 군인과 군무원이 나누어져 있지만 경찰은 경찰공무원이거든요. 경찰 공무원이 되면 본인의 의사 또는 특별한 결격사유가 없는 이상은 정년보장이 되고, 평생 연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선망하는 안정적인 직업으로써 선호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 순경 - 경장 - 경사 - 경위 - 경감 - 경정 - 총경 - 경무관 - 치안감 - 치안정감 - 치안총감 ] 

경찰 계급은 총 11개로 나누어집니다. 가장 말단인 순경으로 시작해 가장 높은 계급인 치안총감이 되기까지는 무려 10번의 승진을 거쳐야 하죠. 가장 높은 계급인 치안총감이 바로 경찰청장입니다. 하지만 순경으로 시작해서 치안총감까지 오르기는 쉽지 않습니다. 경찰대학교 출신의 엘리트는 4 계단을 건너뛴 경위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이들과 경쟁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죠. 지난해에는 여성으로서는 첫 치안정감에 오른 송경애 치안정감님이 순경으로 시작해 경찰 계급 서열 2위까지 오른 것이 이슈가 되기도 했습니다. 

 

2. 계급별 급수

경찰 공무원 계급별 급수
경찰 공무원 계급별 급수

 

경찰 조직의 가장 높은 계급인 치안총감이 되면 차관급의 대우를 받습니다. 공무원 급수 1급을 넘어선 차관급의 급수를 가지게 되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자치단체의 시장 및 도지사가 되면 차관급의 대우를 받습니다. 그 밑으로 치안정감은 1급, 치안감은 2급, 경무관은 3급이죠. 총경은 보통 경찰서장직을 맡게 되는데 공무원 급수로 따지면 4급입니다. 

 

경찰대학 출신이 아니라면 경찰공무원 시험에 응시해 합격 후 채용된다면 9급 순경부터 시작합니다. 한 계급씩 승진할 때마다 공무원 급수가 오르게 되며, 월급이 오르는 재미도 함께 느낄 수 있죠. 사실 공무원 사회는 호봉제이기 때문에 매년 호봉이 상승함에 따라 월급이 상승합니다. 연봉제인 직장인과는 다른 부분이기도 하죠. 

 

3. 간부 계급 분류 

경찰 간부 계급
경찰 간부 계급

 

가끔 뉴스를 보면 경찰 간부 출신이다 뭐다. 간부인지 아닌지에 대한 분류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총 11개의 계급으로 나누어진 경찰 조직에서 간부라고 부를 수 있는 계급은 어디서부터 일까요? 일반적으로 경찰 계급은 서열이 가장 높은 치안총감부터 경무관까지는 '고위 간부 계급'이라고 합니다. 총경부터 경위까지는 '중간 간부 계급' 이하 경사부터 순경까지는 '비간부 계급'으로 분류합니다. 

 

공무원 급수 9급부터 7급까지는 비간부 계급인 셈이죠. 경위부터를 중간 간부라고 부르는 이유는 경위 계급이 되면 지구대 순찰팀장, 파출소장의 직책을 맡기 때문입니다. 경감부터는 경찰서에서 주요 계장 또는 팀장을 맡고 있죠. 총경이 되면 경찰서장이나 경찰청 과장급의 직무를 맡습니다. 부하지원을 거느리고 책임급 업무를 하는 계급이 되면 중간 간부로 분류되는 셈입니다. 

 

고위 간부 계급은 회사로 치면 상무, 전무, 부사장, 사장 같은 임원입니다. 경찰조직에서는 경무관부터 치안총감까지가 고위간부에 해당하는 셈이죠. 치안감은 시도경찰청장이나 경찰청국장급의 직무를 맡습니다. 치안정감은 경찰조직 전체 서열 2위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경찰청 차장이나 경찰대학장급의 직무를 맡습니다. 군인으로 치면 별 3개의 중장에 해당되죠. 치안총감은 군인으로 치면 별 4개의 대장급입니다. 경찰이라는 조직의 총수로써 경찰청장 직무를 맡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